공동육아 수업을 하다보면 녀석들의 총천연원색의 개성들이 너무나 도드라져서 힘들.. 경이로울 때가 있다. 누구도 개성을 발하기 위해 애쓰지 않아도, 그냥 가만히 있어도 아우라가 다들 장난이 아니다. 각각의 향기를 잃게 하는 두려움과 허영으로부터 아이들을 지켜내는게, 너를 참된 너로 살게 하는게 육아의 목표라 해도 과언이 아니겠다. 


-


성범죄자 정보가 우편으로 배달될 때마다 유심히 보고 이내 우울해진다. 당신도 엄마 품에서 배냇웃음을 지은 적이 있었겠지. 세상이 당신에게 미소짓는 것 같은 따스함을 느낀 적이 있었겠지. 

언제, 왜였을까, 길을 잃은 건.

안드레아 와이스의 책, '파리는 여자였다'를 읽고 있다. 여전히 바람둥이, 술꾼 마초남성들이 주류인 예술계에서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에서는 멋지게 묘사되지만) 연대하는 여자들의 이야기가 인상적이다. 당시 파리는 '여자는 그저 조신하게 살림하고 애 낳고 예쁘게 꾸미고 남편을 내조해야 한다'라는 당위에서 그나마 자유로울 수 있는 곳이었기에 여자 예술가들은 레즈비언이건, 보수 기독교인이건 모여서 연대하고 함께 살아갔다. 작가 거트루드 스타인은 자기 집을 예술가들에게 열어주었고, 그곳에서 문화가 꽃피었다.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에서 거트루드 스타인


 

그러나 그녀의 다소 전위적은 글들은 출판사의 사랑을 받지 못했고, 58세가 되어서야 건너간 고국 미국에서 드디어 대박이 터졌다. 그것도 자기가 순수하게 쓴 글이 아닌, 비서이자 동반자 앨리스 토클라스의 평이하게 풀어낸 문체의 자서전에서. 천재로 추앙받기도 하지만, 전쟁과 정치에 대해 무지하고, 사치스럽게 살았다는 비판도 있다. 미국에서 성공했을 땐 파리의 오랜 동료들로부터 비판과 질투어린 배신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그녀의 인생은 어쨌거나 찬란했고 행복했다고 본다.   

-

책을 읽으며 이웃과 함께 부비대며 살아가는 것에 대해 많이 생각했다.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큰 도전이다. 특히 오늘 내가 한 말이 잘못한 건 아닐까, 저 사람은 왜 내게 저런 말을 할까 종일 생각하는 내향형 소심인에겐. 그렇지만 40대를 앞두고 더 이상 움츠러들어 살 수는 없다. 함께 살아가며 나와 이웃의 삶이라는 선물을 꽃 피워야 한다. 더 이상 빛에 따라오는 그림자를 두려워해서는 안돼. 나를 다독이며 괜찮아, 괜찮아, 그래도 괜찮아. 되새겨본다. 



"토끼는 경찰보단 당근 농사가 딱이야"

"오 하나님 감사합니다, 주차단속요원이라니!"


걱정과 잔소리 또한 어찌 사랑의 한 모습이 아니겠냐마는, 근원적으로는 사랑보다 두려움에 더 가깝다.  아이는 끽해야 부모를 안심시키러 거짓말이나 늘어놓겠지. 

신뢰와 격려. 그리고 조용한 기다림으로 너희를 받쳐줄게. 훨훨 날아오르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