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레아 와이스의 책, '파리는 여자였다'를 읽고 있다. 여전히 바람둥이, 술꾼 마초남성들이 주류인 예술계에서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에서는 멋지게 묘사되지만) 연대하는 여자들의 이야기가 인상적이다. 당시 파리는 '여자는 그저 조신하게 살림하고 애 낳고 예쁘게 꾸미고 남편을 내조해야 한다'라는 당위에서 그나마 자유로울 수 있는 곳이었기에 여자 예술가들은 레즈비언이건, 보수 기독교인이건 모여서 연대하고 함께 살아갔다. 작가 거트루드 스타인은 자기 집을 예술가들에게 열어주었고, 그곳에서 문화가 꽃피었다.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에서 거트루드 스타인


 

그러나 그녀의 다소 전위적은 글들은 출판사의 사랑을 받지 못했고, 58세가 되어서야 건너간 고국 미국에서 드디어 대박이 터졌다. 그것도 자기가 순수하게 쓴 글이 아닌, 비서이자 동반자 앨리스 토클라스의 평이하게 풀어낸 문체의 자서전에서. 천재로 추앙받기도 하지만, 전쟁과 정치에 대해 무지하고, 사치스럽게 살았다는 비판도 있다. 미국에서 성공했을 땐 파리의 오랜 동료들로부터 비판과 질투어린 배신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그녀의 인생은 어쨌거나 찬란했고 행복했다고 본다.   

-

책을 읽으며 이웃과 함께 부비대며 살아가는 것에 대해 많이 생각했다.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큰 도전이다. 특히 오늘 내가 한 말이 잘못한 건 아닐까, 저 사람은 왜 내게 저런 말을 할까 종일 생각하는 내향형 소심인에겐. 그렇지만 40대를 앞두고 더 이상 움츠러들어 살 수는 없다. 함께 살아가며 나와 이웃의 삶이라는 선물을 꽃 피워야 한다. 더 이상 빛에 따라오는 그림자를 두려워해서는 안돼. 나를 다독이며 괜찮아, 괜찮아, 그래도 괜찮아. 되새겨본다. 

+ Recent posts